97년 앨범이다.
보통은 5집을 이들의 최고 음반으로 꼽지만 난 4집이 더 좋다. - 카새트 상자에서 5집이 튀어나와서 5집 들으면 생각 바뀔수도 있음.
가벼운 마음으로 실었을 것 같은 <DOC와 춤을>이 - 선정적이지도 않고 세상에 대한 불만도 약한 곡(젓가락질 잘해야만 밥을 먹나요?)인데 - 그해 최고 히트곡 중에 한 곡이 됐다. 사람 일은 이렇게 알수가 없다.
디제이덕은 신철이 디제이들 중에 세 명 뽑아서 만든 팀이다. 2집부터 정재용이 들어왔고 매 앨범 히트를 했다. 이하늘은 조관우 1집에 랩 피쳐링 - <다시 내게로 돌아와> 였나? - 을 했는데, 하이톤 랩을 잘 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피쳐링을 줬단 얘기를 라디오에서 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하늘이 하이톤이 약간 독보적이긴 하다. 정재용의 차분한 랩 스타일과 김창렬의 고성능 고음 보컬도 빠지진 않는다. 이들이 늘 흥행했던 이유다.
신철에게서 독립해서 낸 첫 음반이다. DOC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앨범이다. 이하늘이 샘플링을 배워서 본격적으로 음악을 만든 게 이때부터인 것 같다.
B면에 남궁연이 만든 곡이 세곡 연속으로 나오는데, 다 좋다. <서울트레인>에 '칼루이스 벤존슨도 따라오다 지치지'란 랩 가사를 좋아했다.
<5분 대기조> <뱃놀이> <미안해> 다 좋아했다.
<무아지경>은 노래방에서 자주 불렀다. 술 취해서 부르면 기분 좋다.
<Everybody> 는 5집에 <Boogie night>으로 이어지네.
<모르겠어> 에서 '너네 노래도 못하지 랩도 못하지....핫 반바지 입고 웃장까는' 사람들이 클론이다. 강원래랑 이하늘이 악연이다.
DOC는 악연도 많고 물의도 많이 일으켰다. 예전에는 그런것도 좋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물의를 일으킨 자들의 음악은 자연스럽게 덜 좋아하게 된다.
랩 코러스에 '엑스틴' 이희성이 있네. 우리나라 랩 바닥이 좁으니까 다들 알고 지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