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TICLE 2025/04/09 | 3 ARTICLE FOUND

  1. 2025.04.09 신촌블루스 1집
  2. 2025.04.09 들국화 1집
  3. 2025.04.09 새 바람이 오는 그늘 - 새 바람이 오는 그늘

 1988년. 

 프로듀서 조동진

 멤버 - 기타 : 엄인호, 이정선   보컬 : 정서용, 한영애, 박인수

 내가 가진 카세트는 91년에 나온 버전이다. 속지에 아무 내용도 없다. 나무위키에 수록곡 개별에 대한 설명까지 자세히 나온다.

 앨범은 오리지널 블루스는 아니고 슬로우 락 블루스 느낌이 강하다. 기타리스트가 둘이라 그런지 앨범 전체에 기타 소리가 많이 들리고 기타로 블루스 느낌을 냈다. 앨범안에 균일하게 흐르는 기타 소리가 앨범의 통일성을 높여준다. 듣기에 아주 좋다. 

 <아쉬움> 정서용 목소리 굉장히 듣기 좋네.

 <봄비> 박인수 선생님이(47년생인데, 나무위키 소개로는 장르가 소울임) 본인이 불렀던 곡을 다시 불렀다. 7분이 살짝 넘는 곡인데, 정말 좋다. 이 선생님이 부른 <나그네의 옛 이야기>는 이번에 처음으로 유심히 들어봤는데, 좋다.

 신촌블루스는 팀 이름을 잘 지었다. '신촌 = 대학생 + 블루스 = 이국적이고 이질적이고 새로운 것' 우린 좀 다른 음악하는 사람들이야, 우리 음악 들으면 세련된 사람들이야, 하는 느낌?

 

AND

 1985년에 이런 앨범이 말이 되나? 늘어진 테잎으로 듣는데도 좋았다.

 비틀즈에 가장 가까웠던 팀이다.(사진에는 없는 드러머 주찬권, 최성원 곡들 사이사이를 채워주는 조덕환의 곡들)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좌상단 전인권, 우하단 최성원(?)

AND

 1990년.

 기타 이준, 베이스 김정렬 그리고 조규찬이 만든 팀이다. 이준, 김정렬도 여전히 음악계에서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앨범에 드럼은 전태관(봄여름가을겨울) 건반이랑 음악감독은 최태완( 다섯 손가락 멤버, 조용필 밴드에서도 연주하셨던)이 맡았다.

 프롤로그 에필로그 빼고 절반 정도가 조규찬 곡인데, 조규찬 곡들은 본인 1집으로 이어진다.

 <좋은날>(김정렬 작사 작곡)은 기타 코드를 따서 지금도 종종 친다.

 <소풍가는 길>이란 연주곡에서 <빨강머리 작은새>로 이어지는 흐름이 굉장히 좋다. <빨강머리 작은새>는 이 앨범 내 최애곡 중 하나다.

 <언제나 그랬듯> '어설프게 놓인 작은 기타를 제 자리에 세우네'  <사진첩> '넌 나의 좋은 친구야' 이 가사들이 곡과 딱 붙으면서 들을 때 작은 기쁨을 준다.

 <호수에서>는 뒷부분 연주 파트가 특별히 좋다.

 이 앨범이 나온 게 <봄여름가을겨울> <빛과 소금> 1집이 나온 후지만 '퓨전 재즈(?)'라는 같은 선상에 있으면서도 굉장히 신선한 느낌의 앨범이다.

 몇 년 전까지 카세트 플레이어가 있는 자동차를 탔었는데, 그때까지도 많이 들은 앨범이라 많이 늘어났다.

왼쪽부터 이준 조규찬 김정렬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