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면한다'
답답한 심정이 명치에서 동심원을 그리며 녹아 내리고 바로 울음이 터지는 말
'파면한다'
2025년 4월 4일 11시 22분.
'파면한다'
답답한 심정이 명치에서 동심원을 그리며 녹아 내리고 바로 울음이 터지는 말
'파면한다'
2025년 4월 4일 11시 22분.
앨범 타이틀대로 슈퍼마켓에서 들을 수 있을 법한 흔한 사랑 노래들로 꽉 찬 앨범이다.
1999년 발매다. 2집이 96년인데, 2년동안 무슨일이 있었나. 장호일이 제작했고 앨범 프로듀스는 장호일, 이장우 둘이 같이 했다.
B면부터 듣는다. <나의 아버지>는 넥스트 김영석이 작곡했고 넥스트 멤버들이 연주했다.(김영석, 김세황, 이수용) 이 곡 라디오에 종종 나왔었다. 인순이의 <아버지>처럼 히트하지는 못했다.
<심야>(윤성희 작사, 김형석 작곡)가 이 앨범 내 최애곡인데, 그 시절 들을 때 가사가 맘에 들었었다. - 살아있는 건 창백하게 빛나는 편의점 불빛........ 끝이 없는 밀어를 속삭이지만' <심야> 전곡이 <투유>란 곡인데, 두 곡 연속으로 재즈풍 곡을 수록했다.
정석원이 만든 <그남자 그여자>도 듣기 좋네. 곡이 좀 긴 느낌?
A면은 장호일이랑 만든 타이틀곡 <마지막 약속>을 시작으로 유정연 곡이 네 곡 자작곡이 한곡 실렸다.
<마지막 약속>은 소소한 히트를 했다. 조규찬이 코러스를 했네. 타이틀 곡으로는 좀 약한 느낌이다.
윤손하랑 부른 <러브송>도 당시에 라디오에서 리퀘스트가 좀 있었다. 유손하 목소리가 예쁘다. 윤손하가 나왔던 드라마는 기억이 안 나는데 얼굴은 기억난다.
<이별한 후>가 숨은 명곡이다. 자작곡인데 이 곡을 타이틀 곡으로 했으면 어땠을까, 싶네. 앨범에 다른 발라드 곡들보다 멜로디와 가사, 가수 목소리가 잘 붙는 느낌이다. 이 곡은 꼭 들어보자.
들을만한 앨범이다. 솔로 마지막 앨범이 될 줄 예감했나? 12곡을 꽉 채워서 실었다. 보컬이 1, 2집때보다는 더 성숙한 느낌이 있다. 이장우는 노래도 잘 하고 목소리도 예쁜데 솔로로 히트하기에는 한 끗이 부족한 느낌이다.(가사가 귀에 착착 붙지 않는 느낌? 가사 자체 탓일 수도 있다.)
95년 솔로 1집이다. 94년 '공일오비' 5집에서 <그녀의 딸은 세살이에요>를 이장우가 불렀다. 공일오비 2~5집까지 쭉 참여했으니 솔로 앨범을 낼 때가 됐다.
유정연 작곡 정석원 작사 <훈련소로 가는 길>이 소소한 히트를 했다. 정석원 군대 안 간 걸로 알고 있는데, 작사가 정석원이었네. 이장우가 군대 가기 전에 솔로 앨범 내고 갔다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실제로는 군대 갔다온 다음이다.(공일오비 5집 수록곡은 군 시절에 녹음했나 봄.) 솔로 2집이 96년에 바로 나온다.
A면 2번곡이 이상은 1집에 실린 <슬픔없는 이별> 리메이크다. 이 노래 좋다. 이장우 목소리랑도 잘 맞는 곡이다. 선곡을 잘 한듯.
A면은 '처음면'으로 B면은 '이어지는면'으로 표기했다.
근데 속지는 어디갔나?
본인이 곡 작업에 참여한 두 곡 <예전의 그 모습으로>(작사, 작곡) <세상을 보내며>(작사)에 따로 점을 찍어서 표기했다. <세상을 보내며>는 정석원 곡인가? 편곡이 공일오비 스타일이네.
<돌아아 줘> <날 위하여> <마지막 인사> 까지 유희열 곡이 세곡 연속으로 들어갔다. 유희열의 초창기 발라드 스타일이고 이런 스타일은 2집에 <슬픈 이야기> <슬픈 사랑>까지 이어진다.
전체적으로는 그냥 평범한 발라드 앨범이다. A면 1, 2번은 이어서 들어보자.
1999년 앨범이다. 1집이 89년에 나왔으니까 이승환은 90년대 초중반의 다른 유명가수들처럼 매년 앨범을 내지는 않았다.
4집(1995년)이 대성공을 거두면서 앨범 전체 스타일을 5집, 6집까지 이어갔다. - <천일동안> <애원>에 이어서 타이틀 곡은 데이비드 캠벨이 편곡하고 마이클 톰슨이 기타를 치는 전통 -
유희열이랑 공동 작곡이 많고 스티브 데비란 분이 많은 곡의 편곡을 맡았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유희열에게 편곡을 맡기지 않은 게 참 잘한 생각이다. - 결벽증을 가진 이승환이 5집 <가족>의 표절소동이 있었는데도 6집을 유희열과 같이 만든 건 왜일까? 흥행에 대한 부담? -
<그대는 모릅니다> 가 타이틀 곡이었는데, 대히트를 하지는 못했다. 5집 <애원> 보다는 히트했다. <세 가지 소원>이 잘됐고 <당부>란 발라드도 인기를 끌었다.
<렛잇올아웃> 좋네. 하지만 5집의 <붉은 낙타> 4집의 <너의 나라>를 못 이긴다.
이 앨범부터 이승환 인기 하락세의 시작이네, 적어 놓고 앨범 판매량을 보니 5집도 60만장 이 앨범도 60만장을 팔았네. 그래도 이때부터 하락세인 걸로 하자.
사운드가 꽉찬 수작이다. - 앨범에 돈 들어간 소리가 들린다. -
데이비드 캠벨은 아직도 활동을 하고 있고 정말 유명한(대단한) 사람이다. 시간이 나면 링크를 타고 가서 읽어보자.
정재윤의 음악성이 정점에 도달한 앨범이다. 1996년.
히트곡이 많다. <넌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야> <해피엔딩> <천생연분> <이제 그만 화풀어요>
A면에 히트곡이 몰려있네. <이제 그만 화풀어요>만 김조한 작곡이다.
<넌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야>는 2집 <이밤의 끝을 잡고> 같은 알앤비 발라든데, 정재윤의 일렉기타 소리가 아주 듣기 좋게 들어가서 락 느낌이 난다. 편곡이 이쁘게 된 느낌이다.
<해피엔딩>은 만났다 헤어졌는데, 다시 만나서 해피엔딩이라는 최승호 작사가의 가사가 좋고 이준의 랩이 너무나 듣기 좋다. 솔리드 곡 중에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곡이다.
<천생연분>은 2집 <나만의 친구>랑 더불어 친구들이 노래방에서 많이 불렀던 곡이다. 소개팅 가서 현재 애인을 만날지경이니 천생연분이라는 가사가 재미있다.
B면에 <Yes of No>라는 곡 좋네. 앞곡이 <Love 햄릿>인데 두 곡 다 정재윤이 랩을 했다. 랩은 이준만 하는 게 좋았을 듯. <사고방식>도 좋다. 템포가 빠른 곡들이 듣기 좋다.
<널 위해서라면>도 좋다. 솔리드 멤버들이 한국어에 익숙한 시절이 아니라 가사는 다 작사가들이 썼는데, 이 곡은 이준이 한국어 랩가사를 썼네.
앨범이 수작이다. 2집의 성공을 반복하면서 2집보다 사운드가 화려해진 느낌. - 2집과 달리 중간중간 악기들이 들어갔다. - 솔리드 음악의 정점?